순서대로 적어보자면, 아마 처음으로 갔던 기억 교실은 촬영을 허가 받지 않고 그저 방문만 했던 날이었다. 기억 교실을 보고 느꼈던 첫 감정은 알 수 없는그리움이었다. 옮겨진 모습이라서 학교라는 공간의 모습을 느끼지 못할 거라고 생각했었는데, 벽과 바닥, 천장의 에어컨까지 그때의 모습이 너무 생생하게 멈춰있었다. 교실의 모습은 우리가 알고 있는 교실의 칠판, 책상, 의자. 모든 게 우리가 알던 그 모습이었다. 금방이라도 문 너머로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들려올 것만 같았다. 하지만 이제 그 웃음소리가 존재하지 않고, 또 웃음이 존재할 수 없게 되어버린 교실의 모습이 마음을 아프게 했다. 그냥 그렇게 아파하며 한 명 한 명 얼굴을 마음속에 새기며 교실을 바쁘게 둘러보고 나왔다.
촬영을 위해 또다시 기억 교실을 방문했을 때에는 공간에 묻어 있는 그 날의 향기를 열심히 찾아봤다. 반의 벽면에 붙어있는 큰 캘린더에 친구들의 생일과 학교 행사와 더불어 ‘수학여행’이 써져있었다. 옆에는 큰 하트도 붙어있었는데어떤 마음으로 그 글씨를 썼을지 너무나 잘 알 것만 같아서 더 마음이 저려오기도 했다.
가장 마음이 아팠던 건 교무실, 선생님들 책상 위에 가지런히 놓여져 있는 수학여행을 위한 ‘개인정보 동의서’ 였다. 그 안에는 많은 학생들의 이름과 동의 칸에 쳐져 있는 동그라미들이 존재했다. 그게 얼마나 미워 보였는지 모른다. 그것만 없었어도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바다를 따라가지는 않았을텐데라는 생각까지도 들었다.
단원고에 방문했을 때에 가장 먼저 본 것은 아스팔트에 거의 지워져 가는 희미한 노란 리본 그림이었다. 그만큼 지나간 세월도 다시 한번 느꼈다. 단원고를 들어가기 전에 어머님을 만나 설명을 들으며 단원고를 둘러봤는데, 그날 그곳의 기억을 말씀해주시는 어머님께 너무 감사했다. 마지막으로 아이들을 배웅했던 운동장 이 야기를 해주실 때에는 마치 그 장면이 보이는 것처럼 느껴졌는데, 설명을 듣는 우리야 그저 그렇게 상상을 하지만 어머님은 실제로 있었던 얼마나 아팠을 기억을 저렇게 담담하게 이야기 해주실까 하는 생각을 했다.
어머님이 말해주시길 단원고가 유가족들을, 그리고 세월호 참사를 그리 마주 하려 하지 않는다고 했던 것 같다. 아이들의 추모공간이자 조형물 뒤편에 학교를 빠져나가는 작은 계단이 있는데, 아마도 학교가 좋아하지 않으니 눈을 피해 그곳으로 자주 드나드셨다고 하셨던 것 같은데 (정확하지는 않지만....) 학교는 학생들의 즐거운 학교생활을 보장해야 하는 의무도 있지만, 그렇다고 기억을 간직할 수 있는 공간이 주는 그리움과 아픔, 그 사실을 막아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